안나 카레니나(Anna Karenina, 1997.10, 감독 버나드 로드)

감독 버나드 로드
출연 소피 마르소, 숀 빈, 알프리드 몰리나, 미아 커쉬너

러시아의 귀부인 안나와 청년 장교 브론스키의 비극적 사랑이야기. 러시아의 작가 톨스토이의 비극적 명작으로 이 영화 이전에 1900년 초부터 수차례 영화화되었다.

유럽 여행에 갔다가 우연한 기회로 보게 된 안나 카레니나의 발레, 발레가 대사가 없어서 답답하지도 않고 발레라는 것을 처음 보니 흥미롭고 재미있더라. 하지만 내용을 모르니 답답한 것은 사실! 발레에서는 우선 아이가 나오는데 기차놀이를 하고 있다. 그리고 엄마인 듯 한 사람이 나오는데, 아버지로 보이는 사람이 엄마와 아이를 떨어뜨려 놓는다. 엄마는 결국 다른 남자와 가버린다. 그리고 이렇게 저렇게 지속되다가, 엄마와 아빠의 갈등이 막 보이다가 영화와 비슷한 결말(영화 안 보신 분들을 위해..^^;;)을 맡게 된다. 솔직히 엄마와 아빠의 갈등은 뭐랄까 그때는 잘 모르고 영화를 보고 알게 되었다. 그 당시 음악의 느낌이 갈등이 굉장히 느껴졌었다. 발레의 동작을 보고는 내가 파악할 수준이 안 되는지라..유_유

그렇게 봤던 그 발레를 감동을 다시 떠올리고자 한국와서 찾았던 안나 카레니나. 10년 정도 지난 영화가 있더라. 더군다나 소피 마르소가 나온다는! 10년 전 영화라 소피 마르소가 그나마(-_-;;) 젊을 때이고 젊을 때의 소피 마르소는 처음 봤다. (그리고 소피 마르소가 프랑스 배우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_-;;)

영화의 줄거리는 19세기(1880년) 러시아. 안나(소피 마르소)는 대지주 카레닌(제임스 폭스)의 아내로서 호화저택에서 남부럽지 않은 생활을 하며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다. 아쉬울 것 하나 없는 풍족한 생활이지만 보수적인 남편에게 염증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던 중 그녀는 오빠 스티바를 만나기 위해 모스크바로 간다. 모스크바에 도착한 그녀는 오빠의 친구인 브론스키(숀 빈)을 만난다. 브론스키는 안나에게 한 눈에 반하지만 그녀는 이미 결혼한 몸! 장교 브론스키는 아름다운 왕녀 키티(미라 커쉬너)와 결혼을 약속했었고 그녀의 사랑을 받고 있었지만, 키티의 사랑을 끝내 거부하고 안나를 따라간다. 그들에게는 과연 어떠한 일이 기다리고 있을까..

딱히 어떤 사람에게 추천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이런 종류의 영화는 그다지 즐겨보는 편은 아니라서 나의 취향은 아니다.


(검색 한 결과, 영화마다, 그리고 책과 내용이 약간 다른 거 같기도..내가 영화로 볼 때는 브론스키가 키티에게 너무 관심이 없어서....)
(아래의 내용은 영화의 내용이 포함됩니다. 혹시나 볼 예정이거나, 볼 생각이 있으신 분은 뒤로 가기를 해주세요.)


처음에 안나가 오빠가 바람펴서 간다고 했을 때, 이미 예견된 것이었을까. 안나와 브론스키의 만남, 약혼했다던 브론스키는 그렇다 치더라도, 이미 결혼한 안나에게는 재앙이었다. 그것은 브론스키에게, 또 브론스키의 가족에게도 재앙으로 다가선 것 같다. 꼭 안나의 남편, 카레닌이 이혼을 안 해줘서 그렇게 비극적으로 끝났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잘못된 만남이라는 것 자체의 문제인 것 같다. 아니면 이탈리아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을 때, 이탈리아에서 눌러 앉았어야만 했다. 영화의 내용이니, 내가 뭐라고 한다고 해도 바뀔 것은 없지만.. 영화를 보고 느낀 것은 ‘브론스키가 가장 나쁜 놈’이라는 것 정도? 유부녀라는 것을 알았으면 참았어야 하지 않았을까? 물론 거기에 넘어간 안나도, 이혼을 안 해준 카레닌도 문제가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발레에서는 안나가 몸을 던지면서 끝났다. 그래서 마지막에 ‘헉~!’했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약간의 뒷이야기도 나왔다. 브론스키의 심정.. 당연히 그랬어야지. 아무튼, 애인 있는 사람을 건드리는(?) 것은 좋지 않다. 더욱이 상대가 결혼한 사람이라면.

      취미이야기/영화, 드라마, 다큐  |  2008. 2. 21. 20:25



Created by Glenn Gorden Caron
주연 : Patricia Arquette(앨리슨 듀바), Miguel Sandoval(마누엘 - 검사),
       Jake Weber(죠 듀바), Sofia Vassilieva(애리얼), Maria Lark(브리짓),
       David Cubitt(스캘런 - 형사), Miranda& Madison Carabello(마리)
홈페이지 : http://www.nbc.com/medium/
          http://www.allisondubois.com/
방송기간 : 2005.01.03-2005.05.23, 16부작
           2005.09.19-2006.05.22, 22부작
           2006.11.15-2007.05.16, 22부작

난 처음에 미드, 미드 이야기를 하기에 미드가 Medium의 Med인줄 알았다. -_-;; 미드가 매우매우 재미있다고 해서 봐야지 하다가 시즌1의 1편을 보았는데, 역시나 굉장히 재밌었다. ‘오~ 이래서 사람들이 미드가 재밌다고 하는구나. 보길 잘 했다.’ 하지만 나중에 알고보니 미드는....

아무튼 우리에게는 중간이라는 뜻으로 잘 알려진 단어 Medium은 수단, 방편, 매개, 매질이라는 뜻도 있고 이 드라마의 제목으로 쓰인 영매, 무당이라는 뜻도 있다. 즉, 이 드라마의 주인공인 앨리슨은 죽은 사람과 대화를 하고, 미래를 보는 영매인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앨리슨이 죽은 사람을 불러 내고, 보고 싶은 미래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There really is an Allison” - Allison이라는 실제로 사람은 존재한다.
“Really.” - 실제라니까.

드라마 시즌1-1편의 시작이다. 이것은 정말 앨리슨이라는 사람의 실화를 바탕으로 각색해서 쓴 것이라고 했다. 앨리슨이라는 사람은 지금은 나이가 꽤 든 것으로 알고 있다. 지난 번에 봤을 때는 홈페이지에서 봤었는데, 지금은 안 보인다. (다른 사람을 본 것인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내가 좋아하는 장르인 스릴러라서 더욱 재미있게 본 것 같다. 아마 ER을 먼저 보고, House를 보고, Prison break를 보고 그 다음 이것을 본 것 같은데, 미국 드라마를 보고 한국 드라마를 보면 확실히 차이가 느껴진다. 한국 드라마는 출생의 비밀, 삼각관계, 불륜, 부잣집과 가난한 집 사이의 연애, 이런 쪽에 치우치는 반면 미국 드라마는 정말 소재가 다양하다. 그리고 주위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미국 드라마는 약간, 아니 어느 정도 현실성이 있는데, 우리나라 드라마는 현실성이 많이 부족한 것 같다. 물론 우리나라 사극은 괜찮다고 생각하고, 드라마 몇 개는 꽤 괜찮다고 생각한다. 또 하나 놀랬던 사실은 미국에서도 영적인 존재를 부정하지를 않는구나 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랬다면 이런 드라마는 나오지 않았을테니 말이다.

미디움은 변호사를 꿈꾸던 주인공이 어떤 계기로 검찰에서 일을 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검사, 경찰과 함께 미궁의 사건, 이해가 잘 되지 않는 사건을 수사하면서 일어난 일들을 에피소드로 하고, 가끔은 2~3편에 걸쳐서 전개를 해 놓았다. 개인적으로는 40분이 짧기에 2편 정도에 걸친 에피소드가 좋았는데, 그래도 모두가 재미있었다. 이상한 사건, 점점 미궁 속으로 빠져들다가 서서히 드러나는 사건의 전모, 그리고 반전인 기승전결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 가족 간의 이야기, 가끔씩 다투기도 하지만 정말 말 그대로 화목한 가정이다. 세 명의 딸, 아니 네(?) 명의 딸을 키우는 우리의 죠 듀바는 정말 100점 짜리 남편이다.

스릴러와 범죄를 좋아한다면 정말 흥미진진하게 볼 수 있는 드라마이고, 범죄, 스릴러를 싫어하지만 않는다면야 정말 추천하는 드라마이다. 현재 시즌3까지 나왔다. 시즌 1,2는 빨리 나오더니 시즌3은 좀 천천히, 시즌 4(2008.01.20예정)는 정말 늦게 나온다. 정말 빨리 보고 싶다.

      취미이야기/영화, 드라마, 다큐  |  2007. 12. 15. 11:02



주연 : Hugh Laurie, Lisa Edelstein, Omar Epps, Robert Sean Leonard, Jennifer Morrison, Jesse Spencer
방송기간 : 2004.11.16-2005.05.24, 22부작
홈페이지 : http://www.fox.com/house
각본 : David shore

친구들의 소개로 본 미국드라마. 소개라기보다는 “재밌다.”라는 말이 많기에 나도 본 드라마였는데, 곧 빠져들었다. 꼭 의대생, 의사인 사람에게만 재밌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재미있는 드라마이다. 의사이지만, 환자 돌보는 것과는 거리가 먼 우리의 의사선생님 Dr. House. 하지만, 독특하고 기발한 사고로 원인 모를 병을 파해쳐 낸다. 그리고 그 와 함께 일하는 체이스, 카메룬, 포어맨, 모두 자기만의 개성을 가지고 있는 그들과 하우스는 매 에피소드마다 하나의 케이스를 맡는다. 가끔 2~3개의 이야기가 나올 때가 있다. 그리고 하우스가 있는 병원의 병원장 닥터 리사 커티, 하우스와 매일 실랑이를 벌이면서도 그를 아낀다. 마지막으로 하우스의 친구(?)이지만, 매일같이 하우스에게 당하는 닥터 윌슨.

시즌1은 우선은 전체적인 소개(?)에 해당되는 것 같다. 에피소드의 시작은 대부분 증상이 있는 환자의 이야기로부터 진행된다. 그리고 기-승-전-결의 구조로 환자가 진단되고, 끝이 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야기가 흘러감에 따라 매 에피소드가 작은 이야기라면, 에피소드 3~4개 또는 더 여러 개를 묶어서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놓은 이중 구조를 취한 것 같다.이런 이야기의 재미도 쏠쏠하다. 시즌1 중반(에피소드 14부터)부터는 그 병원에 1억 달러를 기부하며 병원의 이사로 들어온 보글러와 하우스의 한 판 전쟁, 과연 어떻게 끝이 나게 된것일까?

진단하는 과정이 아주 가끔은 저 정도 쯤은 미리 검사해도 될 것 같기도 한데, 뭐, 아직 내가 환자를 보고 진료를 하는 것도 아니고 자세히는 모르니까, 그리고 무엇보다 미국과 대한민국의 의료의 사정이 다르니까 하고 생각한다. 여담이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병원비 이야기가 한 번 나왔으면 좋겠는데, 안 나오는 것이 좀 신기하다. 그 정도의 시설에서 그런 의료를 받으려면 천만원은 훨씬 넘게 비용을 낼 것 같은데, 아니면 보험료는 매달 몇 십 만원씩 내야 하거나 말이다. 비용은 비교 당하지 않고, 시설이나 환자 보는 시스템만 비교를 당하게 되니 약간은 억울하기도 하다.(뭐 그렇게 비교를 하는 사람은 극소수겠지만.)

아무튼 꼭 의학에 관해 모르더라도 의학드라마로서 추천하는 바이다. 미국 내 병원의 이야기, 그리고 괴팍한 하우스와 그의 동료들이 벌이는 실랑이, 그리고 진단명을 밝혀내는 이야기가 굉장히 재미있기 때문이다.

      취미이야기/영화, 드라마, 다큐  |  2007. 12. 9. 07:35



배경은 1980년 5월 7일. 광주 민주화 운동 일어나기 전 약 10일간의 이야기이다.
99% 픽션이다.

신촌에 있는 모 대학교(-_-)의 야구부에서 일하고 있는 이호창(임창정).
안암의 모 대학교에게 야구 3년패를 했다.
그리한 상황에서 광주의 태양 선동렬선수마저 안암에 있는 대학교로 진학한다는 소문이 들려오고..
그래서 신촌에 있는 대학에서 선동렬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광주로 누군가가야하는데..
친구들과의 휴가를 꿈꾸던 호창이에게 갑자기 그 임무가 떨어진다.

광주에 갔더니 이미 안암에 있는 대학교에서 선동렬 선수를 빼돌린 것 같다.
모른다는 말뿐이고.
광주에 친구가 혹시 있나 싶어서 이리 저리 연락 해보다 예전에 사귀던 세영(엄지원)이 광주에 있음을 알게 되고..

하지만, 세영이에게는 그녀를 좋아해주는 다른 남자, 곤태(박철민)가 있다.
곤태는 호창이를 경계하며, 호창이를 위협하고.
선동렬 선수 때문에 광주로 간 호창이에게 예전의 연인을 만나게 되면서 일어나는 이야기.
이소룡을 좋아하던 두 사람, 공교롭게도 이소룡이 죽는 날 헤어졌었던 그 연인.
이소룡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일방적인 이별통보였던지라 호창은 절대 있지 못 하고 있는데..

99% 픽션의 이야기이지만, 절대 잊어서는 안 될 우리 역사의 이야기.
정말 아주 비슷한 사람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광식이동생광태'(2005.11)의 감독이었던 김현석 감독님의 최근 작품.
'광식이동생광태'의 영화와 느낌이 비슷하다.
웃음과 감동, 안타까움이 묻어나오지만 웃음이 아주..아주 약간은 과장되어있지 않나 싶다.

그래도 영화 시간 내내 웃다면서 굉장히 재밌게 보았던 영화.
그리고 뒷부분으로 갈수록 가슴뭉클한 사연까지.
특별히 장르를 가리지만 않는다면야 강추하는 영화!

      취미이야기/영화, 드라마, 다큐  |  2007. 11. 14. 11:14



심종민's Blog is powered by Daum